본문 바로가기
지원금

2023 정부지원 저축통장(청년도약계좌 외 정책성통장)

by 머니산 2023. 2. 21.

이번 출시되는 청년도약계좌는 기준중위소득기준시 180% 이기 때문에 부자지원이라는 논란이 생겼습니다. 최근 금리이상으로 금융권 적금이자가 오른다고 해도 5%~6%입니다. 그런데, 정부에서 지원하는 적금통장 또는 자산형성지원사업 통장의 경우 정부보조금, 정부매칭금, 민간보조금까지 모두 더해져서 이율이 100% 에서 최대 700%~800% 까지 되는 적금도 있습니다. 그렇게 되면 만기 수령액이 저축한 금액의 7배가 넘는다는 이야기입니다. 이밖에도 이자율이 높은 정책성 통장에 대해 안내해 드리겠습니다.

 

 

 

자산형성지원사업 3종

희망저축계좌 1형(현재모집 중)

본인 매월 10만 원 ~50만 원 저축 시 매월 근로소득장려금 30만 원이 생성되어 적립. 탈수급장려금으로 계좌를 해지하면서 생계. 의료 수급자에서 벗어나면 최대 72만 원 지원. 자활근로사업단 참여 시 내일키움장려금 20만 원 지원. 내일키움 수익금, 시﹒ 도 자활기금 및 지방비 통합 추가까지 매칭되어 만기 시 납입금액 7배~8배 이자율 기대효과

신청대상 : 기준중위소득 40% 이하 가구 중에서 가구원 중 일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며, 그 소득은 기준중위소득 40%의 60% 이상인 가구

 

희망저축게좌 2형 (1형 만기 후에도 가입가능)(현재모집 중)

매월 10만 원 ~ 50만 원 저축 시 매월 근로소득장려금 10만 원 지원 정부지원금으로 지원. 추가로 자활근로 사업에 참여 시 내일키움 장려금으로 20만 원. 월 15만 원 내로 내일키움 수익금도 발생

신청대상 : 소득인정액이 기준 중위소득 50% 이하인 주거, 교육급여 수급 가구와 차상위계층 가구 중 현재 근로활동 중 이거나, 사업소득이 있는 가구

 

청년내일저축계좌(지역별로 차등. 평균 5월부터 신청예정)

청년층 기준중위소득 100% 까지 가입가능한 저축계좌로 기존 10만 명에서 올해 2023년에는 17만 명으로 지원 확대. 

*중위소득 50% 이하 기초, 차상위 계층 청년일 경우 10만 원 저축할 때 3년 동안 정부에서 월 30만 원의 근로소득장려금+은행이자 지급

*중위소득 50% 초과 100% 이하는 10만 원 저축할 때 3년 동안 정부에서 월 10만 원의 근로소득장려금+은행이자 지급

** 가입 이후 소득이 늘어나서 중위소득 50% 이하였다가 초과한다고 하더라도 가입시점 기준으로 지원금 적립이 유지되기 때문에 현재소득이 적을 경우 가입하면 유리합니다.

*가입당시 생계급여 수급가구의 청년은 월 10만 원 초과소득이 있다면, 근로소득공제금으로 매월 10만 원을 더 적립해 줍니다.

*만기나 해지 시 탈수급할 경우에는 72만 원 탈수급장려금 지원

*자활근로사업단 참여 시 추가 20만 원에 내일키움 수익금 15만 원 더해짐

신청대상 : 기준 중위소득 100% 이하 신청당시 만 19세 ~ 34세 청년. 기초 차상위계층 만 15세~ 39세까지 가능.

 

반응형

신청방법

  •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상담
  • 복지로에 접속하여 가입 신청, 신청 전 자가진단표 작성(청년내일저축계좌 자가진단표 참고) 신청절차에 따라 온라인 신청

 

 

청년도약계좌

만 19세~ 34세 청년들의 중장기 자산형성을 정부가 돕기 위한 목적으로 6월 출시예정

연소득 7천500만 원 이하 청년대상 기준준위소득 180% 해당하고, 군 복무기간 최장 6개월간 인정해 주기 때문에 만 40세까지 가입연령이 늘어날 수 있습니다.

 

*5년 만기

*매월 40만 원 ~ 70만 원 저축 시 은행이자 + 납입금액 비례 최대 6%의 지원금을 정부에서 입금해 줌. 이자소득 배당소득 비과세

  (예: 월 70만 원 납입 시 5년 뒤 5천만 원 목돈마련 가능)

*예금방식은 주식형. 채권형. 예금형 3가지로 운영되며 은행에서 출시될 예정입니다. 

 

 

반응형

댓글